기사 메일전송
시험을 망친 건 정말 내 실력 때문일까? - 고정관념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심리학적 영향
  • 기사등록 2025-08-04 08:22:03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Stéréotype | Figma




"여자는 수학을 못해."
"흑인은 공부를 못해."
"너는 그 나이에 아직 그거밖에 못 해?"


우리는 살아가며 다양한 고정관념(stereotype)을 마주하게 된다. 고정관념이란, 어떤 집단에 속한 사람에 대해 갖는 일반화된 믿음으로,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과는 무관하게 단지 그가 속한 사회적 집단이나 외형적 특성만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사고방식이다. 예를 들어, “여자는 수학을 못한다”, “남자는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한다” 또는 “청소년은 미성숙하다”와 같은 믿음들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단순한 편견에 그치지 않는다. 때때로 당사자의 행동과 수행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실제 결과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이는 심리학에서 고정관념 위협(stereotype threat)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고정관념 위협이란,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그 집단에 속한 개인이 그 고정관념에 맞는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성과를 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단순한 불안감에 그치지 않고, 집중력 저하, 동기 감소, 자기 효능감 상실 등의 심리적 반응으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실제 수행 능력까지 저해하게 된다.



스탠포드 연구가 보여준 놀라운 결과


이러한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대표적인 연구는 스틸과 애런슨(Steele & Aronson, 1995)의 실험이다. 연구진은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흑인 및 백인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언어 능력 시험을 치르게 하였다. 다만, 참가자들에게 시험의 목적을 다르게 설명하였다.


  • 1. 진단적 조건 – “이 시험은 지적 능력을 평가합니다.”

  • 2. 비진단적 도전 조건 – “이 시험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도전입니다.”

  • 3. 비진단적 조건 – 능력과는 관계없는 단순한 활동이라는 설명


실험 결과, 흑인 참가자들은 시험이 ‘지적 능력’을 측정한다고 소개되었을 때, 자신들의 인종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이 떠올라 성과가 눈에 띄게 저하되었다. 반면, 문제 해결력이나 단순한 과제로 인식했을 경우에는 백인 참가자들과 유의미한 차이 없이 비슷한 성적을 거두었다. 동일한 시험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설명 방식만으로 결과가 달라졌다는 점에서 고정관념이 인간의 행동에 얼마나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정관념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고정관념 위협은 특정 인종이나 성별에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 주변에도 이러한 고정관념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문과는 수학을 못한다.” “중고등학생은 감정 조절이 어렵다.” “외모가 이러니까 성격도 이럴 것이다.” 등등 이처럼 다양한 고정관념은 사회적 기대와 연결되어 있으며, 때로는 그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실제 행동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특히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로, 사회의 시선에 더욱 민감해지는 시점이다. 따라서 자신에 대한 고정관념을 내면화할 경우,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고 행동을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는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1. 고정관념의 존재를 인식해야 한다.
    고정관념은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선 그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경계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2. 나의 능력과 가치를 외부의 기준이 아닌, 스스로의 기준으로 정의해야 한다.
    타인의 시선이나 사회적 기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스스로의 목표와 성장에 대한 신념이다.


  3. 결과에 대한 해석을 조심해야 한다.
    특정 상황에서의 실패가 나의 본질적인 능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황적 요인이나 심리적 압박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1. 참고문헌

  2. Steele, C. M., & Aronson, J. (1995). Stereotype threat and the intellectual test performance of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5), 797–811. https://doi.org/10.1037/0022-3514.69.5.797 


  3.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chology.or.kr/news/view.php?idx=10663
  • 기사등록 2025-08-04 08:22: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