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K-대학생의 5대 허언. 정각에 시작한다고요? - 미루고 또 미루게 되는 '라운드 넘버 이펙트'
  • 기사등록 2023-07-12 16:25:25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채현 ]


출처: Unsplash의 Mohammad Begher Adib Behrooz

공부를 시작할 때 시계를 본 후 만약 2시 12분이면 "딱 3시가 되면 공부를 시작해야지"라고 생각하고 핸드폰을 다시 손에 쥔 경험이 있는가? 이처럼 어떠한 일을 수행하려고 할 때 지금이 아닌 정각에 시작하려고 미루는 현상을 일각에서는 ‘정각병’이라고 부르며, 정각병을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묻는 글들을 인터넷에서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각병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

아주대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는 이 현상이 “라운드 넘버 이펙트(round number effect)”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즉, "17이나 23 같은 수가 아니라 10이나 20처럼 똑 떨어지는 수일 때 새로운 행동을 하려는 현상“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은 공부뿐만이 아니라 다른 상황에서도 발생한다. 일례로 데이터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퇴사를 결심하는 순간은 바로 입사 5, 10, 20주년이 되었을 때”라고 한다. 또한, 사람들은 12월 29일, 30일, 31일까지는 별다른 생각이 없다가 유독 1월 1일에 버킷리스트를 작성하곤 하며, 수요일 혹은 목요일보다는 월요일에 새로운 일을 시작하겠다는 결심을 한다. 즉, 대부분의 사람은 딱 떨어지는 숫자에 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라운드 넘버 이펙트’만을 놓고 본다면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효과가 문제가 되는 까닭은 똑 떨어지는 수가 지났을 때 다시 그러한 수가 다가올 때까지 행동을 시작하지 않고 계속해서 미루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공부를 시작할 때 분명 3시에 시작할 것이라고 다짐을 해놓고 핸드폰을 하다가 3시 7분이 되면 “4시에는 정말 시작해야지”라며 계속해서 계획을 미루곤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행동은 K-대학생의 5개 허언 중 하나로 불리기도 한다. 


그렇다면 ‘라운드 넘버 이펙트’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먼저, 단위를 세밀하게 만들어 주는 것으로 이 효과를 극복할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시침밖에 없는 시계라면 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기 때문에 분 단위는 넘겨버리고 정각을 기준으로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시침과 분침이 모두 있고, 5분마다 표시가 되어 있는 시계라면 훨씬 세밀한 단위로 시간을 설정하여 행동으로 옮길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 주 단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심리학자들은 “월 단위의 달력 대신 하루 단위의 일력을 쓰면” 더욱더 충실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월 단위의 달력을 사용하면 다음 달이 아닌 이번 주에 있는 일정들이 모두 비슷하게 느껴지는데 일 단위의 달력을 사용하면 오늘과 내일의 구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20초 룰’을 통해서도 이 효과를 극복할 수 있다고 한다.

하버드대 심리학자 숀 아처(Shan Achor)에 따르면 언제든지 20초 안에 닿을 수 있는 곳에 해야 할 것을 놔두는 것만으로 미루는 습관을 고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실제 자신의 경험에서 기인한 것으로 매일 일정 시간 기타를 치겠다고 다짐했지만 연습을 게을리하였고, 이와 같이 미루는 까닭이 기타를 꺼내는 행위가 귀찮아서였다는 것을 발견하여 ‘20초 룰’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결국 이는 자연적으로 하기 쉬운 행위에 더 끌리는 인간의 행동 패턴에 기인한 것으로 “좋은 습관은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20초 가깝게’, 나쁜 습관은 ‘20초 멀게’가 황금률”이라는 것이다.






지난기사

고층이 ‘권력의 상징’이 된 이유

‘솔직해질 용기’가 있는 일기

당신은 하루에 몇 번 ‘진짜 미소’를 짓나요?

보호자와 반려견이 닮은 이유는?

행운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당신도 혹시 ‘거지방’ 사용자인가요?

바쁘디 바쁜 당신이 여행이 고픈 이유

‘행복’이 영원하지 않은 이유

기계에 마음을 주는 인간, 비정상적일까?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개구리처럼 보인다고요?






[참고문헌]

-김경일 (2019.05.22). [김경일의 심리학 한 토막] "공부해" 엄마 말에 "2시부터 할거야!" 대답하는 학생 심리는?. 조선일보.

http://newsteacher.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21/2019052100025.html

-송은주 (2014.03.06). 삶을 바꾸는 ‘20초 룰’. 베이비트리.

http://babytree.hani.co.kr/?document_srl=149336

-한국장학재단. (2021.07.29.). 대학생이라면 공감! 코브스 선정 K-대학생 5대허언. 한국장학재단 NAVER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065583&memberNo=487943&vType=VERTICAL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chology.or.kr/news/view.php?idx=6782
  • 기사등록 2023-07-12 16:25:2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